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척수신경 31쌍과 자율신경계 1. 지배 영역이 다른 척수신경 31쌍 척수신경은 척추와 척수 사이 공간으로 나와 척수의 후근과 전근이 합쳐서 형성됩니다. 척수신경은 어느 척추 마디 사이에 있느냐에 따라 맨 위에서부터 경수신경, 흉수신경, 천수신경으로 불립니다. 경수신경(목신경)은 8쌍이며 흉수신경(가슴신경)은 12쌍, 요수신경(허리신경)은 5쌍, 천수신경(엉덩이신경)은 5쌍입니다. 미수신경(꼬리신경)은 천추와 미추 사이를 지납니다. 척수신경은 팔, 다리, 배, 가슴 그리고 등의 근육과 피부와 연결되어 일반감각을 관리합니다. 척수신경의 각 마디마디마다 제어하는 부위가 다릅니다. C1 ~ C8로 구분되는 경수신경은 목, 어깨, 팔, 손, 가슴, 배와 가슴 사이를 분리하는 횡격막(diaphragm)을 제어합니다. 흉수신경 T1 은 팔, T.. 2023. 12. 3.
다양한 신경로의 종류와 특징 척수의 회색질 바깥의 백색질은 뇌와 척수를 연결하는 유수신경섬유 다발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런 백색질은 후백색기둥(posterior white column, 후섬유단), 전백색기둥(anterior white column, 전섬유단), 외측백색기둥(lateral white column, 외측섬유단) 으로 구분합니다. 각각의 기둥에는 감각정보나 운동명령을 전달하는 신경섬유 다발인 신경로가 있습니다. 신경로는 내장, 피부, 근육의 감각을 대뇌로 전달하는 상행감각신경로와 대뇌와 뇌간의 운동핵에서 척수로 운동신호를 전달하는 하행운동신경로가 있습니다. 척수시상로는 통증, 온도감각 또는 비분별성 촉각을 전달하는 신경로입니다. 이 신경로에서는 척수신경절에서 뻗어 나온 후근신경이 척수후각의 신경원들과 시냅스 하고, .. 2023. 11. 20.
척수의 특징과 척수신경의 구조 1. 척수 신경과 뇌신경의 차이 척수를 드나드는 신경 성분을 구분하면 전각부터 후각까지 일반체원심성(general somatic efferent, GSE), 일반내장원심성(general visceral efferent, GVE), 일반내장구심성(general visceral afferent, GVA), 일반체구심성(general somatic afferent, GSA) 이렇게 네 가지가 됩니다. 척수신경의 유일한 감각성분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일반감각입니다. 뇌신경의 감각성분은 시각과 청각부터 균형감각의 특수감각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연수에서 중뇌까지 배열된 12개의 눈, 귀, 코, 혀, 그리고 안면 근육을 조절하는 감각과 운동신경핵이 있는데 모두 뇌신경입니다. 척수는 촉감, 온도, 고유감각과 같은 .. 2023. 11. 19.
척수 감각과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1. 척추뼈가 형성되는 과정 척주뼈 구조에서 횡돌기는 영장류와 비교할 때 인간에게서 그 형태의 진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요추횡돌기뼈는 인간이 달리면서 더 효율적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진화하게 되었습니다. 에런 필러는 에서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진화하며 척추뼈의 횡돌기 형태가 변화하여 직립보행으로 달릴 때 호흡과 척추뼈의 상호관계를 진화적으로 설명했습니다. 태아 발생 과정에서는 경절에서 연골뼈세포들이 신경관을 감싸 점차 경골화되며 척추뼈를 형성합니다. 척추뼈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척삭은 척추뼈 사이 추간판에 일부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사라집니다. 태아 발생 과정에서 척수 신경이 근육에 연결되는 과정은 척수 신경이 뼈 분절을 관통하며 연골 뼈의 분절이 척추뼈로 형성되는 과정입니다. 신경관에서 뻗어 나온.. 2023.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