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시냅스의 생존법과 학습의 비밀 1. 감각정보를 통해 대상을 지각하는 뇌 우리의 뇌 구조를 손으로 만들어보겠습니다. 두 손 모두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넣고 주먹을 쥐고 안쪽이 마주 보도록 붙여봅니다. 그 상태로 양팔을 마주 붙여서 수직으로 만듭니다. 수직으로 세운 팔은 척수에 해당합니다. 손 안으로 들어간 엄지손가락은 기억의 형성에 관여하는 내 측두역 해마복합체에 해당합니다. 두 손은 각각 중심역을 기준으로 앞쪽뇌와 뒤쪽뇌에 해당합니다. 대뇌피질은 중심열을 기준으로 앞쪽은 운동을 처리하고, 뒤쪽은 감각을 처리합니다. 좌뇌, 우뇌의 구분보다 더 중요한 뇌의 기능은 '앞쪽 뇌는 운동', '뒤쪽 뇌는 감각', '안쪽 뇌는 기억'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안쪽은 내측두엽인데, 이 부위는 해마복합체가 기억을 형성하는 영역입니다. 감각이란 자극이 .. 2023. 12. 4.
변연계와 편도체 1. 감정 형성에 관여하는 뇌의 변연계 분노와 공포 같은 일차적 감정은 무의식적 조건반사라고 봅니다. 가만히 있는 사람을 뒤에서 툭 치면 바로 화를 내듯이 이 자극이 무엇인지 생각하기도 전에 당황한 느낌과 함께 화가 불쑥 나오게 되는 것처럼, 예측하지 않은 신체자극 반응은 무의식적 반사처럼 의식하지 않은 감정을 반사적으로 일으킵니다. 이런 감정은 본능적 정서반응이 반사적으로 표출된 것인데,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반사라는 의미는 이미 경험한 자극과 비슷한 상황에 처했을 때 비슷한 감정반응을 보인다는 뜻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대뇌피질 안쪽 변연계 회로와 시상하부 핵들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됩니다. 대상회, 해마, 편도체 그리고 시상하부가 변연계의 주요 영역이지만 전전두엽까지 포함한 확장된 변연계의 구성은 감정과.. 2023. 12. 4.
조건반사와 무의식반사의 동작 원리 1. 무의식반사와 신체의 항상성 유지 인간 행동의 95%는 의식되지 않은 채 일어납니다. 행동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습관화된 반응입니다. 무의식적 반응은 대개 습관화된 조건반사운동입니다. 반사는 무조건반사와 조건반사로 구분됩니다. 무조건반사란 먹이를 줄 때 개가 침을 흘리 듯, 자극 그 자체만으로 생리적 반응을 일으키는 것입니다.무조건반사는 학습으로 연결된 신경회로가 즉시에 활성화되어 반응 속도가 빠릅니다. 척수가 관여하는 반사에는 무릎반사 같은 신장반사(뻗기 반사), 배변반사, 그리고 배뇨반사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구강안면반사는 하품, 기침, 음식물 삼키기, 침 분비, 구토반사작용에 관여합니다. 연수의 그물형 성체는 동맥혈관의 굵기를 반사적으로 조절하는데, 대동맥체, 경동맥체, 대동맥동, 경동맥동,.. 2023. 12. 3.
인간 신경계의 기원과 발생 과정 1. 신경계의 기원과 진화 과정 독립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신경세포는 원시 후생동물이 운동을 시작하여 앞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며 동물의 표피를 구성하는 세포의 일부가 변화하면서 진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동물이 앞으로 움직이며 표피세포는 외부의 자극에 부딪치게 되는 과정에서 일부 표피세포가 환경자극에 더 민감해지며 세포 내부를 흥분 상태로 변하게 하는 성질을 얻습니다. 이 중 일부 세포가 표피 내부로 들어가며 세포의 형태를 변화시켜 다른 세포와 연결되며 표피에 남은 신경세포는 감각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내부로 들어간 신경세포는 양쪽으로 가지를 만들어 가지의 한쪽은 표피에 남아 감각을 수용하는 세포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운동을 일으키는 효과기와 연결됩니다. 신경계와 피부가 발생학적으로 동일한 기원.. 2023.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