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배 영역이 다른
척수신경 31쌍
척수신경은 척추와 척수 사이 공간으로 나와
척수의 후근과 전근이 합쳐서 형성됩니다.
척수신경은 어느 척추 마디 사이에 있느냐에 따라
맨 위에서부터
경수신경, 흉수신경, 천수신경으로 불립니다.
경수신경(목신경)은 8쌍이며
흉수신경(가슴신경)은 12쌍,
요수신경(허리신경)은 5쌍,
천수신경(엉덩이신경)은 5쌍입니다.
미수신경(꼬리신경)은
천추와 미추 사이를 지납니다.
척수신경은 팔, 다리, 배, 가슴
그리고 등의 근육과 피부와 연결되어
일반감각을 관리합니다.
척수신경의 각 마디마디마다
제어하는 부위가 다릅니다.
C1 ~ C8로 구분되는 경수신경은
목, 어깨, 팔, 손, 가슴, 배와 가슴 사이를 분리하는
횡격막(diaphragm)을 제어합니다.
흉수신경 T1 은 팔, T2~T12는
등 근육과 배 근육
그리고 갈비 사이 근육과 연결되어 있고,
L1~L4로 분류되는 요수신경은
허리, 아랫배 벽, 넓적다리와
종아리 일부와 연결됩니다.
그리고 L5로 분류되는 요수신경과
S1~S4로 구분하는 천수신경 그리고 미수신경은
항문과 생식기의 피부와 근육,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와 발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팔과 다리는 경수신경과 요수신경이 관장합니다.
척수를 보면 경수와 요수 쪽이 두꺼운데,
두꺼운 이 부위를 각각
경수팽대부, 요수팽대부라고 합니다.
척수는
경수 (C1~C8),
흉수 (T1~T12),
요수 (L1~L5),
천수 (S1~S5),
미수 (Co1)
총 31쌍을
동전으로 쌓아놓은 것처럼
분절되어 있습니다.
척수신경을 감싸는 척추뼈도
경추, 흉추, 요추, 천추, 미추입니다.
척수분절 각각은 척수신경을 통해
근육, 분비샘뿐만 아니라
피부와도 연결됩니다.
그 결과 피부에서도 척수처럼 피부 분절이 나타납니다.
경수신경에는 피부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이 없습니다.
얼굴, 이마의 피부 분절은
뇌신경인 삼차신경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경수 첫째 분절인 C1은 연수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척수신경은 분절된 몸 체절의
감각과 운동을 관리하고
척수를 따라 상하로 연결됩니다.
척수 맨 앞쪽에 거대하게 확장된 신경절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대뇌입니다.
척수의 앞쪽 말단이 크게 발달하여
대뇌로 진화하게 됩니다.
이처럼 두개골도 척추뼈의 말단이 크게
발달한 형태로 봅니다.
해부학자 리처드 오언은
두개골의 요소들이
척추뼈와 같은 형태라 주장했습니다.
T1~T4로 구분되는 흉수의 전각에서 나온
신경절전섬유와 시냅스 한 교감신경절의 신경원은
심장과 연결되어 심장의 수축력을 높여
심장을 빨리 뛰게 만듭니다.
흉수 T5~T12의 전각에서 나온 신경절전섬유는
교감신경절을 그대로 통과한 후
횡격막을 뚫고 배 안으로 들어가
복강신경절과 시냅스 하고
복강신경절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위, 췌장, 간, 부신, 신장으로 이어집니다.
그 결과 위의 소화효소 생산량이 줄어들고,
취장에서는 인슐린 분비량이 감소하고,
간에서 글리코겐 합성 및 저장량이 줄어들어
혈당량이 높아지며
부신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만들어지고,
신장에서 생성되는 소변의 양이 줄어듭니다.
여기서 복강신경절도 자율신경계에 포함됩니다.
복강신경절은 복강신경총(복강신경 얼기) 안에
있습니다.
요수 L1~L3의 전각에서 나온
신경절전섬유 또한
교감신경절을 그대로 통과한 후
횡격막을 뚫고 들어가
자율신경계에 속하는 상장 간막신경절과
하장 간막신경절의 신경원과 시냅스 합니다.
상장 간막신경절과 하장 간막신경절은
소장과 내장, 방광과 항문, 생식기와 연결되어
소장과 대장의 움직임이 줄고,
요도괄약근(요도조임근)과
항문괄약근(항문조임근)이 수축하여
배뇨와 배변 억제에 관여합니다.
장간막은 장을 복막에 고정시키는
반투명하고 얇은 막입니다.
척수신경 하측 말단에서
신경절전섬유가 나와
교감신경 간의 요수신경절이나
천수신경절의 신경절후섬유와
시냅스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 때 신경절후섬유는
요수천교감신경총을 지나
다리의 혈관과 피부로
운동신호를 전달합니다.
천수 S2~S4의 전각에서 나온 신경절전섬유는
대장의 벽신경절 신경원과 시냅스 하여
뇌간과 시상하부에서 시작된 운동신호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전달된 운동신호는
대장운동이 활발하게 합니다.
골반신경절에서 나온 신경절후섬유는
방광과 생식기로 이어져 방광을 수축해
배뇨시키고 생식기를 자극합니다.
2.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자율신경계
척수신경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자율신경계 (automatic nervous system) 와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뇌간과 시상하부(hypothalamus)에서
자율신경이 나오는데
이것은 척수로 내려가
척수전각의 운동신경세포와
시냅스 합니다.
척수전각의 신경원은
자율신경절로 신경섬유를 뻗어
자율신경절의 신경원으로
운동신호를 전달합니다.
운동신호를 받은 자율신경절의 신경원은
타깃이 되는 기관으로
신호를 전달해 타깃이 되는 기관의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자율신경계는 말 그대로
우리의 의지대로 조절되는 게 아닌
교감과 부교감의 신경계가 상호조절하며
몸의 항상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우리 신체의 시스템입니다.
척수 옆에는 교감신경절이 마치 사슬처럼
이어져 지나가는데
이 신경절을 교감신경 간(교감신경줄기)
이라고 합니다.
척주의 양 옆에 위치합니다.
이 부분에는 교감신경원 세포체가 모여있습니다.
부교감신경의 신경절은
주로 타깃이 되는 기관에 가까이 있습니다.
교감신경기둥에 출력된 신경섬유는
내장, 피부, 혈관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뇌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건반사와 무의식반사의 동작 원리 (0) | 2023.12.03 |
---|---|
인간 신경계의 기원과 발생 과정 (0) | 2023.12.03 |
다양한 신경로의 종류와 특징 (0) | 2023.11.20 |
척수의 특징과 척수신경의 구조 (0) | 2023.11.19 |
척수 감각과 운동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 (0) | 2023.11.14 |